달팽이웰니스
월급 그대로인데 교육비에 등골 휜다 본문
대학교·유치원 다 올랐다…교육물가 금융위기 후 최대 증가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립대를 중심으로 대학교 등록금이 오른 여파가 국공립대·전문대로 퍼졌고, 유치원비도 9년여 만에 가장 크게 뛴 영향입니다.
오늘(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습니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입니다.
교육 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를 0.21%포인트(p)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습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입니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입니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랐습니다.
2009년 2월 7.1%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지역별로 부산·울산·경남이 5.6%로 가장 높았고, 서울·인천·경기(5.5%)가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0.1%)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고 전남·전북·광주(3.7%)가 그 다음이었습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2022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36개월 동안 상승률이 0%였다가 지난달 처음 올랐습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서울·인천·경기(1.6%), 대구·경북(0.4%) 외 나머지 시도에서는 오르지 않았습니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으로 다른 교육 물가도 덩달아 올랐습니다.
사립대학원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납입금은 2.3% 올랐습니다.
두 항목 모두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폭 상승했습니다.
3월 전문대학납입금도 3.9% 상승했습니다.
역시 2009년 2월 7.6% 이후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유치원납입금 상승률은 4.3%로,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보였습니다.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습니다.
가정학습지 물가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1.1%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996년 12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이러닝이용료도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9.4%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5년 1월 이후 최대폭 상승률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월 초등학생학원비(2.0%)·중학생학원비(1.2%)·고등학생학원비(1.0%)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2.1%)보다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음악학원비(2.2%)·미술학원비(2.9%)·운동학원비(3.9%)는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습니다.
특히 운동학원비는 올해 3% 후반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은 향후 물가 불안의 뇌관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습니다.
16년간 이어진 각 대학들의 등록금 동결 기조가 무너진 만큼 인상 대열에 합류하지 않은 사립대학은 물론 다수 국공립대학의 연쇄 인상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33653?ntype=RANKING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 갇혀 밥도 못 먹을까봐”…키오스크 앞에 선 노년 (1) | 2025.04.07 |
---|---|
봉준호 '미키17' 한달만에 극장서 내려…"손실 1천170억원 추정" (0) | 2025.04.07 |
살아있는 대형견 매달려 당황"…대낮 당진 발칵, 무슨 일 (0) | 2025.04.07 |
로또 '100억' 대박 터졌나…1등 수동 5장 '한 곳'서 나왔다 (0) | 2025.04.07 |
대구서 또 산불진화 헬기 추락, 조종사 1명 ᆢ44년 된 노후 기종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