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머스크 칩’ 뇌에 심은 사지마비 환자…“1년 만에 게임 실력 늘어” 본문

일상

머스크 칩’ 뇌에 심은 사지마비 환자…“1년 만에 게임 실력 늘어”

SM_SNAIL 2025. 3. 25. 11:01
‘생각만으로’ 게임 능숙해져
“로봇 조작 가능해지길 바라”
일각선 사생활 침해 우려도



뉴럴링크 칩을 뇌에 심은 놀런드 아르보가 지난해 3월 생각만으로 체스 게임을 하는 모습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뉴럴링크 X 캡처]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신체가 마비된 남성이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 받은 뒤, 1년째 ‘생각만으로’ 체스 등 각종 게임을 즐기며 살고 있다. 그는 게임에서 친구들을 이기기까지 한다. 이는 공상과학 영화 속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실제 사례다.

23일(현지시간) 영국 BBC는 지난해 뉴럴링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세계 최초로 이식 받은 놀런드 아르보(30)의 근황을 소개했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으로, ‘꿈의 기술’이라고 불리는 BCI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아르보는 뉴럴링크의 첫 번째 BCI 장치 이식 사례자였다. 그는 다이빙 사고 후 8년 만이던 지난해 1월, ‘텔레파시’로도 불리는 BCI 장치를 이식받았다. 두개골에 이식된 텔레파시는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실 모양의 전극을 통해 신경세포(뉴런)와 전기 신호를 주고 받으며 컴퓨터를 조작한다.

같은 해 3월 뉴럴링크는 아르보가 휠체어에 앉아 손을 움직이지 않고 노트북 스크린의 마우스 커서를 조작해 체스를 두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당시 아르보는 체스를 두면서 이식 수술에 대해 설명하는 등 멀티태스킹도 가능한 모습을 보여 주목받았다.

뉴럴링크 칩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뇌에 이식된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사진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상징한다. [뉴럴링크]수술 후 1년이 지난 현재, 아르보는 칩을 통한 조작 능력이 향상됐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사고 이후 포기해야 했던 게임을 하면서 성장했다”며 “이제는 게임으로 친구들을 이기기도 한다. 불가능했던 일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 이 장치를 통해 휠체어나 휴머노이드 로봇까지도 조작할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고도 말했다.

아르보는 처음 수술받기로 결심했을 때를 떠올리며 “잘 되든 안 되든 내가 도움을 줄 수 있었다”며 “만약 모든 것이 잘 된다면 뉴럴링크의 참여자로서 도움이 될 것이고, 끔찍한 일이 벌어지더라도 그것을 통해 배울 점이 있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그는 수술을 전후로 머스크 CEO와 대화를 나눴다는 그는 “(머스크 CEO는) 나만큼이나 기뻐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이식 후 큰 위기도 있었다. 칩과 뇌 사이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 끊기면서 컴퓨터 조작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아르보는 당시를 회상하며 “정말 속상했다”면서 “다시 뉴럴링크를 사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이 문제는 이후 뉴럴링크가 소프트웨어를 조정하면서 해결되기는 했지만, 전문가들은 자주 제기해 온 기술적 한계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 기술은 분명 혁신적이지만, 인간의 내밀한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근본적인 우려도 늘 존재한다. 서섹스대 신경과학 교수인 애닐 세스는 BBC에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개인 정보 보호”라면서 “두뇌의 활동을 추출한다는 것은 우리의 행동만이 아니라 생각, 믿음, 감정까지도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6398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