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웰니스
신념과 공동체 그리고 팥밥… 스리랑카인이 오래 사는 비결 본문
신념과 공동체 그리고 팥밥… 스리랑카인이 오래 사는 비결
평균 수명, 인접 국가 인도보다 10년 길어

스리랑카는 남아시아에 위치한 섬나라로, 인도 대륙에서 떨어지는 눈물처럼 생겼다고 해서 ‘인도의 눈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이런 점에서 '스리랑카'는 특별하고, 특이한 국가다. 경제적으로는 명백히 잘 '못' 사는 나라다. 2022년 국가부도를 겪었고, 아직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지원으로 버티고 있다. GDP는 2023년 기준 약 844억 달러다. 근처 국가인 인도(약 3조 5500억 달러, 세계 5위)와 42배가량 차이 난다. 하지만 평균 기대 수명으로는 '잘' 사는 나라에 속한다. 스리랑카는 77.23세로 인도(67.31세)보다 약 10년이나 길다. 순위로 따져보면 스리랑카는 185개국 중 36위, 인도는 133위로 약 100계단 차이가 난다.
스리랑카의 가난해도 오래 사는, 그 이유가 뭔지 현장에서 직접 알아봤다. “아유보완.” 그들은 인사말부터 남달랐다. ‘당신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이다. ▲종교 ▲의료 정책 ▲식습관이 이 인사말을 현실로 만들고 있었다.
동국대 불교학부 고영섭 교수는 "스리랑카에는 극단을 피하고, 서로 의존하고, 고통을 수용하는 등 불교의 실천적인 가르침이 마음가짐과 삶의 방식에 스며들어 있다"며 "기대 수명이 긴 데에는 온화한 기후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끼쳤겠지만, 불교적 가치관도 일정 부분 작용했을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19일 스리랑카 캔디에 있는 불치사에서 많은 사람들이 석가모니의 치아 사리를 보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다./사진=이슬비 기자
종교로 유발됐든, 되지 않았든 온화한 성격은 신체 건강에 좋다. 스트레스를 덜 받는 성향은 자율신경계나 심혈관계에 부담을 덜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1950년대부터 꾸준히 이어진 연구에서도, 느긋하고 자기 주장이 약한 사람들은 다혈질이거나 경쟁적인 성격의 사람보다 각종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과 전반적인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스리랑카인은 느긋하고 온순하며 평화로운 성격으로 유명하다.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강성용 교수(남아시아센터장)는 "대다수 문화학자가 스리랑카에 불교문화가 있어 사람들이 안정적이 온순한 문화를 보인다고 인정한다"며 "국가 부도가 났을 때도 비교적 다른 나라와 비교해 큰 폭동이 없었다"고 했다. 스리랑카에서 만난 날린 밀로이(54)씨는 "윤회를 믿는다"며 "지금 일어나는 삶의 일정 부분이 모두 전생에서 온 걸로 보고, 조급해할 것 없이 이 삶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했다.

저녁 시간 한 스리랑카 가족이 켈라니야 사원을 방문해 기도 하고 있다./사진=이슬비 기자
불교 교리에 따라 술을 금기시하는 경향도 있다. 대다수 특별한 날만 마시고, 여성은 거의 마시지 않는다.

버스를 타고 스리랑카 길거리를 지나가며 쉽게 병원을 찾아볼 수 있었다./사진=이슬비 기자
다만, 국가 부도로 경제가 악화하면서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아시아팀 관계자는 "스리랑카는 지역보건사무소에서 주민의 질병 예방 활동과 생활 습관 개선 교육을 하고 있고, 현대의학뿐 아니라 스리랑카 내에 아유르베딕·우나니 등 전통 의료 시스템도 공존하고 있어 건강 지표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도 "보건부 내 수가 관리 체계가 마련돼있지 않아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에서 합리적인 제도 수립을 돕기 위해 현지와 공동으로 근거를 마련 중"이라고 했다.

스리랑카에서 먹은 음식이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팥밥이 주식이다. 오른쪽 사진은 기내식으로 나온 키리 바트./사진=이슬비 기자
지난 2018년 스리랑카에서도 특히 평균 기대 수명이 높은 남부 지방의 건강 요인를 규명한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 게시됐다. 식습관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됐는데, ▲주식이 쌀밥(특히 팥밥)이고 ▲잎채소·채소·생선과 함께 섭취하고 ▲코코넛밀크·잭프루트·폴팔라 등 건강한 전통 식자재 사용 빈도 높고 ▲무설탕 홍차 소비가 많은 것 등이 꼽혔다. 실제 현지에서 팥밥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었다. 또 코코넛밀크를 이용한 음식이 많았다. 대표적인 전통 음식으로는 코코넛 밀크를 넣어 만든 떡 질감의 쌀밥인 ‘키리 바트’가 있다. 밀로이씨의 추천으로 직접 먹어봤다. 쌀이 치아에 달라붙을 듯하다 부스러지며 고소하고 달큰한 코코넛 밀크 향이 강하게 입안에 퍼졌다. 코코넛 밀크는 칼슘, 비타민D, 폴리페놀이 풍부하다. 열량이 높은데, 적당량을 먹는다면 건강에 좋은 식자재다. 김성진 작가는 "가공하지 않은 허브를 식자재로 많이 사용한다"며 "현지인들도 자기들은 이런 식자재를 많이 먹어 오래 산다고 믿더라"고 했다.

스리랑카 제 2도시 캔디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론티 공장 내부 모습. 차는 스리랑카의 주요 수출품으로, 지난해 2억4570만kg(14억 3000만 달러 규모)이 수출됐다./사진=이슬비 기자
식습관 외에도 연구에서는 흡연율이 낮고, 공동체 생활을 하고, 스트레스가 적은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장수 유전적인 전승되는 것이 기대 수명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봤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밭에서 ‘이 색’ 공 던져주세요? 강아지 눈엔 잘 안 보여 (0) | 2025.05.10 |
---|---|
매일 앉고 눕고 '이곳' 집안서 가장 더러워..변기보다 세균 수 75배 많다고? (0) | 2025.05.10 |
추천, 봄꽃차 종류 소개 및 요리 방법과 건강 효과 (0) | 2025.05.10 |
급사 부르는 치명적 ‘이 병’…발병 원인 드디어 밝혀지나 (1) | 2025.05.10 |
굶을 필요 없는 간헐적 단식? 중요한 것은 칼로리 아닌 ‘탄수화물’ (1)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