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달팽이웰니스
풀밭에서 ‘이 색’ 공 던져주세요? 강아지 눈엔 잘 안 보여 본문
풀밭에서 ‘이 색’ 공 던져주세요? 강아지 눈엔 잘 안 보여 [멍멍냥냥]

개는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을 노란색으로, 파란색과 보라색은 파란색으로, 파란색과 초록색을 섞은 청록색은 회색으로 인식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개는 색맹이라 세상을 흑백으로 인식한다는 속설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색을 감지하는 능력이 사람보다 떨어질 뿐, 개도 색을 인식할 수 있다. 개가 인식할 수 있는 색과 개의 시각 능력에 대해 알아본다.
색을 인식하려면 망막에 빛을 수용하는 세포인 원추세포가 있어야 한다. 원추세포는 받아들인 빛의 신호를 뇌로 전달해 특정 색을 인식하게 하는 세포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가시광선을 인식하는 3가지 유형의 원추세포가 있다. 사람이 대부분의 색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다.
그러나 개는 사람보다 한 개 적은 2가지 유형의 원추세포를 가진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제이 니츠 교수 연구팀이 1989년 ‘시각 신경학 저널’에 실린 논문을 통해 밝혀냈다. 연구팀이 개에게 3개의 판을 차례로 보여주고 한 개의 판에만 다른 색깔의 빛을 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개는 사람보다 적은 파장대의 색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의 원추세포 수는 약 700만 개의 원추세포를 가지는 사람보다 적다.
개의 원추세포 유형과 개수는 개가 인식하는 색에 영향을 미친다. 개에게는 노란색과 파란색 가시광선을 인식하는 유형의 원추세포가 있다. 이에 개는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은 노란색으로, 파란색과 보라색은 파란색으로, 파란색과 초록색을 섞은 청록색은 회색으로 인식한다. 빨간색과 초록색의 특정 색조를 구별하는 능력에 이상이 있는 ‘적록색맹’의 시야를 가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잔디밭에서 빨간색 공을 물어오는 놀이를 한다고 가정할 때 개가 인식하는 잔디의 색과 공의 색은 크게 다르지 않다. 후각과 동체시력을 이용해 공을 물어올 뿐이다.
다만, 개의 색깔 인식 능력이 사람보다 떨어진다고 해서 개의 시력이 사람보다 항상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밝은 장소나 낮 동안 개의 시력은 사람으로 치면 0.26 정도로 좋지 않은 편이지만, 어두운 장소나 밤 동안 개의 시력은 사람보다 5배 정도 좋다. 명암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는 간상세포 분포 비율이 사람보다 높을 뿐 아니라 적은 빛으로도 대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색을 인식하려면 망막에 빛을 수용하는 세포인 원추세포가 있어야 한다. 원추세포는 받아들인 빛의 신호를 뇌로 전달해 특정 색을 인식하게 하는 세포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가시광선을 인식하는 3가지 유형의 원추세포가 있다. 사람이 대부분의 색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다.
그러나 개는 사람보다 한 개 적은 2가지 유형의 원추세포를 가진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제이 니츠 교수 연구팀이 1989년 ‘시각 신경학 저널’에 실린 논문을 통해 밝혀냈다. 연구팀이 개에게 3개의 판을 차례로 보여주고 한 개의 판에만 다른 색깔의 빛을 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개는 사람보다 적은 파장대의 색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의 원추세포 수는 약 700만 개의 원추세포를 가지는 사람보다 적다.
개의 원추세포 유형과 개수는 개가 인식하는 색에 영향을 미친다. 개에게는 노란색과 파란색 가시광선을 인식하는 유형의 원추세포가 있다. 이에 개는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은 노란색으로, 파란색과 보라색은 파란색으로, 파란색과 초록색을 섞은 청록색은 회색으로 인식한다. 빨간색과 초록색의 특정 색조를 구별하는 능력에 이상이 있는 ‘적록색맹’의 시야를 가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잔디밭에서 빨간색 공을 물어오는 놀이를 한다고 가정할 때 개가 인식하는 잔디의 색과 공의 색은 크게 다르지 않다. 후각과 동체시력을 이용해 공을 물어올 뿐이다.
다만, 개의 색깔 인식 능력이 사람보다 떨어진다고 해서 개의 시력이 사람보다 항상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밝은 장소나 낮 동안 개의 시력은 사람으로 치면 0.26 정도로 좋지 않은 편이지만, 어두운 장소나 밤 동안 개의 시력은 사람보다 5배 정도 좋다. 명암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는 간상세포 분포 비율이 사람보다 높을 뿐 아니라 적은 빛으로도 대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 비' 실화? 카리브섬에서 벌어진 믿기 힘든 장면 (0) | 2025.05.10 |
---|---|
그린등급 아메리카노 쿠폰 받는다…스타벅스 리워드 개편 (0) | 2025.05.10 |
매일 앉고 눕고 '이곳' 집안서 가장 더러워..변기보다 세균 수 75배 많다고? (0) | 2025.05.10 |
신념과 공동체 그리고 팥밥… 스리랑카인이 오래 사는 비결 (1) | 2025.05.10 |
추천, 봄꽃차 종류 소개 및 요리 방법과 건강 효과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