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개인파산 신청자 '60대' 가장 많았다…채무원인 "생활비 부족" 본문

지난해 서울 개인파산 신청자 10명 중 8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이 중 60대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복지재단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해 들어온 개인파산 신청 1천314건 중 유효한 데이터 1천302건을 분석한 '2024년 파산면책 지원 실태'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2024년 서울회생법원에 접수된 개인파산 신청 8천728건 중 15.0%인 1천314건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들어왔습니다.
분석 결과 신청자의 86%가 50대 이상이었고, 세부적으로 보면 50대가 22.7%, 60대 39.6%, 70대 19.0%, 80대 4.9%였습니다.
50대 이상은 통상 경제 활동이 축소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생활비 부족과 상환능력 저하로 개인파산 신청이 발생했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파산 신청자 중 남성은 61.8%, 여성은 38.2%였고, 기초생활수급자는 83.9%였습니다.
가구 유형으로 보면 1인 가구가 68.4%로 가장 많았습니다.
1인 가구 비율은 2022년 57.3%에서 2023년 63.5%, 지난해 68.4%로 뛰는 등 상승세입니다.
채무 발생 원인을 복수 응답으로 물은 결과 '생활비 부족'이 74.5%로 가장 많았습니다.
'사업 경영파탄'은 27.9%였고,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과 사기 피해도 15.5%를 차지했습니다.
파산신청자 중 직업이 없는 경우는 85.6%였고 채권자가 4명 이상인 다중채무자는 62.7%였습니다.
신청인 가운데 82.0%는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었고, 이 가운데 69.2%는 보증금 600만원 미만 주택에 살고 있었습니다.
자산총액 1천200만원 미만은 90%로,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산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
총 채무액은 신청자의 과반인 60.1%가 1억원 미만이었습니다.
앞서 2013년 7월 개소한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가계 빚으로 고통받는 서울시민 1만3천478명의 악성부채 3조6천118억원에 대한 법률적 면책을 지원했습니다.
정은정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빚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 금융교육과 함께 주거, 일자리, 의료 등 복지 서비스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31539
개인파산 신청자 '60대' 가장 많았다…채무원인 "생활비 부족"
지난해 서울 개인파산 신청자 10명 중 8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이 중 60대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복지재단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해 들어온 개인파
n.news.naver.com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계 4명 중 1명 앓아"...'이 지방간' 사망률 2배 높다는데, 왜? (1) | 2025.03.26 |
---|---|
햄만 먹어도 쇼크?”…‘이것’ 물린 후 고기 공포증 美서 확산, 우리나라는? (3) | 2025.03.26 |
설마 제값주고 사실 건가요?"…여기선 한우·대게 반값 (1) | 2025.03.26 |
암 무서우면 살 빼세요… 허리둘레 늘면 더 걸린답니다 (4) | 2025.03.26 |
스벅 결제부터 통장까지…이 통장에 '2030' 환호 (2)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