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웰니스
태안 바다에 묻힌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8일부터 인양 착수 본문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 운반…현존 유일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올해 선체 인양 추진[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8일 충남 태안군 마도 인근 해역에서 ‘마도4호선’ 인양에 착수한다.

‘마도4호선’은 2015년 발굴조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광흥창’(고려·조선시대 관료들의 녹봉을 담당하던 관청)이 적힌 목간, ‘내섬’(조선시대 궁과 전에 올리는 공물이나 2품 이상 관리에게 주는 음식 등을 담당하던 기관)이 적힌 분청사기, 다량의 곡물 등 출수된 유물과 선박 구조 등을 통해 조선시대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물 등을 운반하던 조운선으로 밝혀진 바 있다.
역사적 기록으로만 남아 있던 조선시대 조운선의 실체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그동안 선체 내부에 대한 조사만 이뤄진 채 인양되지 못하고 바닷속에 고이 잠들어 있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마도4호선’ 발굴 1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총 14차수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선체 인양을 추진한다. 약 600여 년간 바닷물을 머금은 선체 편들은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보존처리 될 예정이다. 선체 인양 후 주변 지점에 대한 추가 조사도 함께 진행한다.
지난해 태안 마도 인근 해역 수중유산 탐사에서 고선박 선체편과 다양한 도자류가 발견됐다. 이에 고선박이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유물집중매장지점에 대한 시·발굴조사와 탐사도 광범위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태안 마도 인근 해역은 고려·조선시대 충청 이남 지역에서 거둔 세곡 및 공납품을 싣고 개경이나 한양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물길이 험해 난행량(이후 ‘안흥량’으로 개칭)이라 불렸을 만큼 해난사고가 잦아 많은 배가 침몰한 지역이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392년부터 1455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에서 침몰했다고 전한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태안 마도 인근 해역에서 총 10차례의 수중발굴조사를 통해 4척의 고선박(고려시대 선박 3척, 조선시대 선박 1척)과 자기류, 목간 등을 비롯한 다량의 삼국~조선시대 유물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앞으로도 해양사 복원을 위한 연구와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동 산불 이틀째, 전국 바람 강하고 건조…내일 전국 비소식 (0) | 2025.04.08 |
---|---|
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尹 탄핵' 놓고 싸움 (1) | 2025.04.08 |
5년 만의 '슬림폰' 출격 임박…삼성 2분기 호실적 이어간다 (1) | 2025.04.08 |
[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65] 봄비 소리 (0) | 2025.04.07 |
은행판 나는 솔로' 열린다…미혼남녀 소개팅 프로그램[은행은 지금] (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