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웰니스
유물 무더기로 나왔지만 도로는 닦아도 된다?’···공사 재개에 환경단체 반발 본문

대구지역 환경단체 등이 연대한 ‘두물머리 죽곡산 선사유적공원 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16일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도로 건설 예정지 앞에서 공사 방침을 비판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대구 한 지자체가 선사시대 유적지로 추정되는 곳에 도로 개설 공사를 강행하려 하자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지자체는 해당 장소를 대상으로 문화재 발굴 조사를 벌이고 후속 조치까지 끝낸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환경단체는 조사의 신빙성 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공사 취소와 보존을 주장한다.
대구 달성군은 내년 2월까지 사업비 55억5000만원을 들여 다사읍 죽곡리 강정마을과 죽곡2지구를 잇는 도로 공사를 재개한다고 16일 밝혔다. 달성군은 기존 계획대로 죽곡산 경사면을 따라 면적 1만5700㎡에 2차로 도로 및 인도(폭 12m·길이 488m)를 놓을 예정이다.
달성군은 10여년 전부터 차량 정체에 따른 민원이 많았다는 점을 공사의 이유로 들었다. 이에 2023년 11월 첫 삽을 떴다.
하지만 달성군은 공사 이전에 이뤄져야 하는 ‘문화재 지표조사’를 행정 착오로 생략했다. 문화재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사 업체가 굴착기를 동원해 수백그루의 나무를 베어 냈다. 도로 진입구를 파헤쳐 배수관 작업 등도 했다.
지표조사가 누락됐다는 지적에 달성군은 2023년 12월 공사를 즉각 중단하고 긴급 지표조사를 벌였다. 이 조사에서 죽곡리 고분군에 바위구멍(성혈)이 새겨진 암각 2기가 발견되자 지난해 1월 공사가 중단(공정률 5%)됐다.
또 문헌조사를 통해 공사 부지 주변 500m 이내에 고분군·산성·성황목 등 8곳의 유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당시 ‘유적지’ 위에 도로를 닦는다는 지역 시민사회의 비판이 거세자 지자체는 문화재 조사를 서두른다. 달성군은 별도의 용역기관을 선정해 지난해 2월 문화재 시굴조사, 그해 4월 정밀조사를 각각 벌였다. 세 차례 조사 비용으로만 약 6억원이 추가로 들었다.
실제 이 곳에서는 문화유산이 대거 확인됐다. 약 6개월간 이어진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결과(요약보고서) ‘유구’가 11기, ‘유물’이 12점(9건)이 발견됐다. 유구는 고분이나 주거지 등 지표를 변경해 만든 옛 시설물로 유물과 달리 옮길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확인된 유구로는 통일신라시대 석실묘 1기, 고려시대 석곽묘 1기, 조선시대 토광묘 2기, 암각석 2기(시대미상) 등이 있다. 집터나 배수로 등 거주 흔적도 나왔다.
또한 유구가 발견된 곳 인근에서 유개고배·유개대부완·청자발 등 다양한 유물도 함께 출토됐다.
이후 달성군은 발굴조사 결과를 국가유산청에 보고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30일 “공사가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는다. 유구는 ‘기록 보존’하고, 유물은 보존 조치를 한 뒤 박물관으로 옮기는 조건에서다.
달성군 관계자는 “유구의 경우 전국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만큼 보존 가치가 떨어진다고 국가유산청이 판단한 듯 하다”면서 “(발견 사실에 대해) 기록으로만 남긴 뒤 공사를 진행해도 좋다는 답을 받았다”고 말했다.
현재 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유물 12점은 수장고에 보관 중이다. 관련 절차를 거쳐 국립대구박물관으로 옮길 예정이라고 달성군 측은 설명했다. 군은 공사 진행의 ‘걸림돌’이었던 문화재 발굴 관련 절차가 마무리된 만큼 다음주쯤 공사를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지역 환경단체 등이 연대한 ‘두물머리 죽곡산 선사유적공원 추진위원회’는 문화재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관련 출토 유물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됐는지 등에 의문을 품고 있다.
이들은 도로가 놓이는 죽곡산의 역사적, 지리적 가치 등에 대해 공개 토론회를 열어 논의하자고 달성군에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공청회 등을 통한 제대로 된 설명도 없이 불통 행정으로 일관한다고 비판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죽곡산은 선사인들의 집단 거주지로서 기능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 발굴된 유산과 유적만으로 충분히 그 가치가 입증된다”면서 “이 곳은 도로를 건설할 것이 아니라 이 일대를 선사유적공원 등으로 잘 관리하고 보전해서 후대에 고스란히 물려줘야 할 귀중한 문화유산”이라고 말했다.
대구 달성군 관계자는 “문화재 발굴 조사와 그 결과에 따른 국가유산청의 지시를 다 이행한 만큼 공사를 다시 시작할 근거는 충분하다”면서 “환경단체의 토론회 등의 요구는 갈등만 키울 수 있고 받아들일 의무도 없다. 주민 민원에 따라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 혈관 딱딱해지는 석회화··· 음파로 깨부숴 제거한다 (0) | 2025.04.18 |
---|---|
치료 어려운 두경부암··· 초기 단계에서 잡을 단서 찾았다 (0) | 2025.04.18 |
AI ‘범죄 연루’ 사례 1년 사이 56.4% 증가 (0) | 2025.04.17 |
배달앱에 뜯겨 못살겠다더니…프랜차이즈 본사는 ‘실적 잔치’ (1) | 2025.04.17 |
압구정역·돌곶이역 인근 도로 꺼짐 신고…인명 피해는 없어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