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달팽이웰니스
이들 모두가 ‘사이코패스’…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외모 특징은 ‘이것’ 본문
이들 모두가 ‘사이코패스’…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외모 특징은 ‘이것’

심리학자들은 눈의 동공 변화로 사이코패스를 구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모두 사이코패스로 밝혀진 미국의 연쇄 살인범들./데일리메일 캡처
심리학자들이 사이코패스임을 나타내는 명백한 징표가 있다고 밝혔다. 바로 ‘동공’이다.
지난 21일(현지시각) 데일리메일은 단순히 보는 것만으로 누가 사이코패스인지 판단할 수 없지만, 알아두어야 할 징후가 있다고 보도했다. 카디프 대학과 스완지 대학의 연구진들은 사이코패스인 범죄자와 일반 범죄자 두 집단에 불쾌한 이미지를 보여줬다. 놀랍게도 두 그룹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보통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들의 경우 고통스럽거나 끔찍한 사진을 볼 때 동공이 확장된다. 하지만 연구진들은 “사이코패스 참가자들이 끔찍한 사진에 대해 독특한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연구 주 저자인 카디프대 심리학과 댄 벌리 박사는 “동공은 우리가 충격을 받거나 겁을 먹을 때 확장된다”며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경우 위협에 대한 이 생리적인 반응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카디프대 로버트 스노든 교수는 “많은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이 대담하고 냉혈한 태도를 보인다”며 “두려움의 감정이 없으면 대담하게 행동하기 더 쉽다”고 했다.
사이코패스는 사회적 규범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득에 따라 타인의 권리를 쉽게 무시하고 침범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다. 특정 상황에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두려움, 죄책감, 슬픔, 분노 등을 잘 느끼지 못한다.
또 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이고 즉흥적이어서 범죄를 충동적으로 저지르고, 상대방이 두려운 눈빛으로 보거나 겁을 먹으면 오히려 자신이 대단한 사람인 것처럼 느껴져 범죄를 감추려 하지 않고 증거를 많이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코패스는 환경 등 후천적인 특징도 영향을 미치지만, 선천적인 요소도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졌다. 실제 영국, 싱가포르 등 여러 연구팀의 연구에서 사이코패스는 뇌 구조부터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과 다르다. 뇌의 각 영역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인 회백질이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보다 수축해 있고, 충동을 유발하고, 사회적 행동을 제어하는 선조체(대뇌피질의 정보를 받아 보상·집행·자기 조절·운동 처리에 관여하는 중요한 뇌 영역)가 10% 정도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1일(현지시각) 데일리메일은 단순히 보는 것만으로 누가 사이코패스인지 판단할 수 없지만, 알아두어야 할 징후가 있다고 보도했다. 카디프 대학과 스완지 대학의 연구진들은 사이코패스인 범죄자와 일반 범죄자 두 집단에 불쾌한 이미지를 보여줬다. 놀랍게도 두 그룹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보통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들의 경우 고통스럽거나 끔찍한 사진을 볼 때 동공이 확장된다. 하지만 연구진들은 “사이코패스 참가자들이 끔찍한 사진에 대해 독특한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연구 주 저자인 카디프대 심리학과 댄 벌리 박사는 “동공은 우리가 충격을 받거나 겁을 먹을 때 확장된다”며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경우 위협에 대한 이 생리적인 반응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카디프대 로버트 스노든 교수는 “많은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이 대담하고 냉혈한 태도를 보인다”며 “두려움의 감정이 없으면 대담하게 행동하기 더 쉽다”고 했다.
사이코패스는 사회적 규범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득에 따라 타인의 권리를 쉽게 무시하고 침범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다. 특정 상황에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두려움, 죄책감, 슬픔, 분노 등을 잘 느끼지 못한다.
또 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이고 즉흥적이어서 범죄를 충동적으로 저지르고, 상대방이 두려운 눈빛으로 보거나 겁을 먹으면 오히려 자신이 대단한 사람인 것처럼 느껴져 범죄를 감추려 하지 않고 증거를 많이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코패스는 환경 등 후천적인 특징도 영향을 미치지만, 선천적인 요소도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졌다. 실제 영국, 싱가포르 등 여러 연구팀의 연구에서 사이코패스는 뇌 구조부터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과 다르다. 뇌의 각 영역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인 회백질이 사이코패스가 아닌 사람보다 수축해 있고, 충동을 유발하고, 사회적 행동을 제어하는 선조체(대뇌피질의 정보를 받아 보상·집행·자기 조절·운동 처리에 관여하는 중요한 뇌 영역)가 10% 정도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던지고 생떼 써도 그저 “OO하지 않아요”…자기만 아는 ‘연약한 괴물’ 부모가 만든다 (0) | 2025.04.26 |
---|---|
연년생 아이 안 만들려면 ‘이 피임법’ 확실…독특한 발상! (0) | 2025.04.26 |
허리 근육통인가 했는데"...럭비공 만한 '이 종양' 장기까지 침범, 무슨 일? (0) | 2025.04.26 |
하루 10분, 나를 위한 명상 시간. 복잡한 생각과 불안을 내려놓고, 마음의 평화를 되찾아 보세요 (0) | 2025.04.26 |
관상동맥시술 받은 당뇨병 환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추려면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