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웰니스
새끼 품은 ‘백악기 어룡’ 화석이 알려줄 수 있는 것들 [와우! 과학] 본문
서울신문 나우뉴스]
미·칠레 대학연구팀, 파타고니아 어룡 화석 발견
출산 직전 새끼, 마지막 식사까지 완벽하게 보존
평온한 바다 생활과 빠른 멸종 실마리 제공 기대

칠레 푼타 아레나에 있는 리오세코 자연사박물관에서 연구원이 3.3m에 달하는 ‘피오나’ 화석을 들여다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화석 전체 모습. Credit=Irene Viscor
포유류가 어류나 조류, 파충류 등 다른 척추동물과 다른 점은 알 대신 새끼를 낳고 젖을 먹여 키운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도 예외가 있다. 오리너구리나 가시두더지 같은 단공류는 포유류인데도 알을 낳는 원시적 그룹이다. 반면 어룡(ichthyosaur) 같은 멸종 해양 파충류는 포유류보다 훨씬 전부터 알 대신 새끼를 직접 낳아 길렀다.
중생대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1억년 넘게 바다에서 번성한 어룡은 일찍부터 돌고래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했다. 따라서 해양 파충류인 거북이처럼 알을 낳으러 육지로 올라갈 수 없었다. 그래서 마치 고래처럼 어미 뱃속에서 상당히 큰 새끼를 출산하는 방향으로 일찍부터 진화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임신 단계의 어룡 화석을 발굴해 포유류보다 먼저 새끼를 낳은 어룡에 대해 많은 사실을 알아냈다. 미국 텍사스 대학의 맷 말코스키 교수와 칠레 마갈라네스 대학의 주디스 파도-페레즈 교수 연구팀은 남미 파타고니아의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가장 완벽한 상태로 보존된 만삭 상태의 어룡 화석을 발견했다.
피오나라는 이름이 붙은 이 어룡은 몸길이 3.3m로 현생 돌고래와 비슷한 크기인데, 출산을 직전 상태의 새끼는 물론 마지막 식사였던 작은 물고기의 흔적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어 백악기 어룡의 생태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피오나가 살던 시기에 남미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되며 그 사이에 얕은 바다가 생겼다. 이 바다에는 어룡의 먹이가 되는 작은 물고기와 암모나이트 같은 연체동물이 많아 이 지역에서 어룡이 크게 번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지층에서는 피오나 이외에도 많은 해양 생물과 다른 어룡의 화석이 발견됐다.
하지만 이렇게 바닷속 생활에 잘 적응했던 어룡은 백악기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쇠퇴를 거듭하다가 결국 공룡이나 다른 중생대 생물보다 더 빨리 멸종해 사라진다. 현재도 그 이유는 미스터리이지만, 어쩌면 어룡의 마지막 번성기에 바다를 누빈 피오나와 그 동료들의 화석에 한 가닥 단서가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구정역·돌곶이역 인근 도로 꺼짐 신고…인명 피해는 없어 (1) | 2025.04.17 |
---|---|
배송비만 아껴도 이득"… 쿠팡 와우 가입자 늘어난다 (1) | 2025.04.17 |
안정적인 게 최고, 9급 공무원 될래"…불황에 노량진 다시 북적인다 (0) | 2025.04.17 |
신입 공고에 '경력 필수'?…좁아진 취업문에 청년들 "그냥 쉬었음" (0) | 2025.04.17 |
배당금이 은행이자보다 높잖아"…현대·기아 쌀때 주워라? (0) | 2025.04.17 |